일기장 제작
1. 레이아웃 만들기
1) activity_main.xml 설정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?>
<LinearLayout xmlns:android="http://schemas.android.com/apk/res/android"
xmlns:app="http://schemas.android.com/apk/res-auto"
xmlns:tools="http://schemas.android.com/tools"
android:layout_width="match_parent"
android:layout_height="match_parent"
android:orientation="vertical"
tools:context=".MainActivity">
<DatePicker
android:id="@+id/datePicker1"
android:layout_width="match_parent"
android:layout_height="116dp"
android:layout_weight="10"
android:calendarViewShown="false"
android:datePickerMode="spinner" />
<EditText
android:id="@+id/edtDiary"
android:layout_width="match_parent"
android:layout_height="wrap_content"
android:layout_weight="1"
android:ems="10"
android:lines="10"
android:text="Name" />
<Button
android:id="@+id/btnWrite"
android:layout_width="match_parent"
android:layout_height="wrap_content"
android:layout_weight="1"
android:enabled="false"
android:text="Button"
/>
</LinearLayout>
▶ 위와 같이 activity_main.xml을 만들어준다.
▶ editText의 lines옵션을 10으로 설정하여 10줄씩 입력을 받거나 확인하도록 한다.
▶ textPersonName옵션에 체크를 해제해야 정상적으로 보인다.
▶ 최종화면
2) MainActivity.java
package com.example.d4tai1.pro20181029a_2;
import android.content.Context;
import android.support.v7.app.AppCompatActivity;
import android.os.Bundle;
import android.view.View;
import android.widget.Button;
import android.widget.CalendarView;
import android.widget.DatePicker;
import android.widget.EditText;
import android.widget.Toast;
import java.io.FileInputStream;
import java.io.FileOutputStream;
import java.util.Calendar;
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ds AppCompatActivity {
DatePicker dp;
Button btnWrite;
EditText edtDiary;
String fileName;
@Override
protected void onCreate(Bundle savedInstanceState) {
super.onCreate(savedInstanceState);
setContentView(R.layout.activity_main);
dp = (DatePicker)findViewById(R.id.datePicker1);
btnWrite = (Button)findViewById(R.id.btnWrite);
edtDiary = (EditText)findViewById(R.id.edtDiary);
Calendar cal = Calendar.getInstance();
int cYear = cal.get(Calendar.YEAR);
int cMonth = cal.get(Calendar.MONTH);
int cDay = cal.get(Calendar.DAY_OF_MONTH);
//1, 2, 5 이라고하면 년이라고하는 느낌이 나지 않기때문에
//Calendar.YEAR 이런식으로 지정한다.
dp.init(cYear, cMonth, cDay, new DatePicker.OnDateChangedListener() {
//년 월 일 뒤에 DataChangedListener가 있다.
//DataChangeListener는 날짜가 변경되면 변경된 날짜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.
@Override
public void onDateChanged(DatePicker view, int year, int monthOfYear, int dayOfMonth) {
//month는 0~11이기 때문에 1을 더해주어야한다.
fileName = year + "_" + (monthOfYear + 1) + "_" + dayOfMonth + ".txt";
String str = readDiary(fileName);
//이미 기록된 것이 있으면 return 해주고 없다면 NULL을 리턴한다.
//readDiary()메소드는 아래에 정의해주었다.
System.out.println("FileName : " + fileName);
//출력을 하는 이유는 Logcat을 확인해서 디버깅하기 용이하도록 한다.
edtDiary.setText(str);
//기존에 기록된 것이 있다면 가져온 것을 출력해준다.
btnWrite.setEnabled(true);
//날짜 변경 시 버튼 클릭이 가능하도록 한다.
}
});
btnWrite.setOnClickListener(new View.OnClickListener() {
//btnWrite를 클릭했을 때의 내용.
@Override
public void onClick(View v) {
try {
FileOutputStream outFs = openFileOutput(fileName, Context.MODE_PRIVATE);
//Context.MODE_PRIVATE는 덮어쓰기를 말한다.
//context.MODE_APPEND는 추가하기를 말한다.
String str = edtDiary.getText().toString();
outFs.write(str.getBytes());
//edtDiary의 내용을 가져와야한다.
//이렇게하면 바이트형 배열이 작성된다.
outFs.close();
//close()시 저장된다.
Toast.makeText(getApplicationContext(), fileName+"이 저장됨", Toast.LENGTH_SHORT).show();
//정말 저장되었는지 확인하기위해 되었으면 Toast메세지를 출력한다.
} catch (Exception e) {
System.out.println("Exception : " + e.getMessage());
}
}
});
}
String readDiary(String fileName) {
String str = null;
try {
FileInputStream inFs = openFileInput(fileName);
byte [] txt = new byte[1024];
inFs.read(txt);
str = new String(txt);
//String객체가 넘어온다.
inFs.close();
btnWrite.setText("수정하기");
//일기가 있으면 "수정하기"로 버튼이 바뀐다.
} catch(Exception e) {
edtDiary.setHint("일기 없음");
// setHint는 setText와 다르게 눈으로 잠깐 보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.
// 커서를 놓고 치면 사라진다.
btnWrite.setText("새일기작성");
//일기가 없으면 "새일기작성"으로 버튼이 바뀐다.
}
return str;
}
}
3) 시연
[1] Calendar의 get메소드
▶ Calendar 클래스의 get메소드 내에는 정수가 들어간다.
▶ 그러나 대신 정수는 알아보기 힘드므로 정의를 해준 것을 넣어 1을 대신한다.
[2] init()
▶ DatePicker의 init( ) 메소드의 파라미터는 전부 int 형임을 알 수 있다.
[3] 로그확인(1)
▶ 실행 시 많은 로그가 출력되기 때문에 현재 내 프로젝트를 선택한다.
[4] 로그확인(2)
▶ 현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만 보여준다.
[5] DatePicker로 날짜 선택
▶ 날짜를 이동할 수 있다.
[6] DatePicker로 날짜 선택 후 로그확인
▶ 정상적으로 날짜가 변경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[7] 일기 저장
▶ 일기를 작성 후 저장한다.
[8] 안드로이드 폰의 메모리 확인
▶ View - Tool Windows - Device File Explorer를 눌러서 탐색기?를 열 수 있다.
[9] 저장한 파일 확인
▶ MainActivity.java에서 작성했던 오늘날짜로 파일을 만들어 저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[10] 날짜 변경
▶ 날짜를 변경하면 새 일기 작성이 가능하다.
'Programming Language > Android Programm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Application 제작 (0) | 2018.11.26 |
|---|---|
| 내장메모리 접근 (0) | 2018.11.05 |
| 대화상자[입력] (0) | 2018.10.27 |
| 대화상자[라디오] (0) | 2018.10.27 |
| 메세지 띄우기 (0) | 2018.10.09 |
댓글